museum soda

모으고 잇다 : gather together

모으고 잇다 : gather together

기간

장소

작가

2020. 05. 15 - 2020. 11. 29

실외전시장

권순엽, 박수정+심희준, 서승모

기간 | 2020. 05. 15 – 2020. 11. 29
장소 | 실외전시장
작가 | 권순엽·박수정·심희준·서승모

전시개요

전시개요

소다미술관은 개관이래 건축가들과 다양한 주제의 공간 설치 전시를 기획하며, 우리 사회의 당면 과제들을 디자인으로 모색해왔다. 2020년 소다미술관이 탐구하고자 하는 키워드는 ‘공동체’이다. <모으고 잇다: gather together>로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고립과 분열의 시대에, 사람과 사람을 잇는 공간 설계로 건강한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마련된 전시다. 건축가는 관객이 느슨히 교류하고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구현하며, 다양한 관계가 시작되는 열린 공간으로 소다미술관을 변모시킨다. 권순엽 건축가는 루프리스 갤러리에 빛에 반응하는 지붕을 설치한다. 지붕은 관객에게 함께할 수 있는 경험과 공간을 선사하며 새로운 쓰임을 만들어간다. 박수정 심희준 건축가는 미술관 라운지 공간에 관객의 메시지를 담은 가방을 설치한다. 가방은 다른 관객에게 웃음과 위로를 전달하며 서로를 연결하는 메신저가 된다. 서승모 건축가는 한옥의 중심 공간이자 연결 공간인 대청마루를 재해석해, 관객을 모으고 연결할 수 있는 쉼터를 제안한다. 전시는 다양한 가능성을 품고 관계와 이야기가 생성되는 공간으로 점차 진화하며 관객과 만나게 될 것이다. 관객은 공간 속에서 숨은 연결망으로 이어져 있는 ‘우리’를 느끼며, 안정감과 유대감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포용력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소다미술관은 개관이래 건축가들과 다양한 주제의 공간 설치 전시를 기획하며, 우리 사회의 당면 과제들을 디자인으로 모색해왔다. 2020년 소다미술관이 탐구하고자 하는 키워드는 ‘공동체’이다. <모으고 잇다: gather together>로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고립과 분열의 시대에, 사람과 사람을 잇는 공간 설계로 건강한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마련된 전시다. 건축가는 관객이 느슨히 교류하고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구현하며, 다양한 관계가 시작되는 열린 공간으로 소다미술관을 변모시킨다. 권순엽 건축가는 루프리스 갤러리에 빛에 반응하는 지붕을 설치한다. 지붕은 관객에게 함께할 수 있는 경험과 공간을 선사하며 새로운 쓰임을 만들어간다. 박수정 심희준 건축가는 미술관 라운지 공간에 관객의 메시지를 담은 가방을 설치한다. 가방은 다른 관객에게 웃음과 위로를 전달하며 서로를 연결하는 메신저가 된다. 서승모 건축가는 한옥의 중심 공간이자 연결 공간인 대청마루를 재해석해, 관객을 모으고 연결할 수 있는 쉼터를 제안한다. 전시는 다양한 가능성을 품고 관계와 이야기가 생성되는 공간으로 점차 진화하며 관객과 만나게 될 것이다. 관객은 공간 속에서 숨은 연결망으로 이어져 있는 ‘우리’를 느끼며, 안정감과 유대감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포용력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소개

권순엽

권순엽 건축가는 루프리스 갤러리에 지붕을 더해, 새로운 쓰임의 공간을 관객에게 선사하는 작품 을 마련한다. 반사 필름지가 서로 결합되며 생성되는 격자구조의 지붕은 곡선으로 공간을 유영하며 또 다른 하늘 풍경을 제안한다. 지붕은 차양의 역할로 관객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도 하고, 빛에 반응하는 작품으로 관객이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도 한다. 인공과 자연, 실내와 야외의 경계를 넘나드는 모호한 공간은 관객에 따라 다양한 가능성을 품은 공간으로 새롭게 확장된다. 사람들이 함께하는 안에서의 공간 경험은 공동의 감각을 깨우며, 우리가 함께하는 지금 이 순간을 빛나게 한다.

박수정, 심희준

박수정 심희준 건축가는 관객과 소통하면서 만들어 나가는 작품 을 선보인다. 미술관 라운지에 설치된 아치형의 구조물에는 관객의 이야기가 담긴 가방이 순차적으로 채워질 예정이다. 글램핑 원단인 멤브레인으로 제작된 노랑, 연두, 초록의 가방은 생명성을 가진 덩굴로 자라나 전시기간 내 라운지에서 관객을 맞이하게 된다. 전시 여정이 끝나면, 이 가방은 참여자들에게 무작위로 전달된다. 가방에 담긴 메시지는 서로에게 위안과 웃음을 주며, 사람과 사람을 엮는 메신저가 된다. 가방은 관객의 삶 깊숙이 들어가 작품이 아닌 일상으로 또는 기분 좋은 연결의 기억으로 다른 삶을 이어간다.

서승모

서승모 건축가는 알루미늄을 재료로, 전통 한옥의 대청마루와 처마를 재현한 작품 을 선보인다. 루프리스 갤러리에 설치된 마루와 처마의 높이는 한옥의 스케일을 충실히 따르고 있어 한옥의 공간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건축가는 미술관에 맞춰 대청마루를 재해석한다. 개방된 공간으로, 집의 중앙에 위치하며 식구들이 모이는 장소였던 대청은 관객들이 앉아 콘크리트 창 너머의 자연을 마주할 수 있는 쉼터이자 다른 관객과의 우연한 만남을 이룰 수 있는 공유 공간이 된다. 차가운 금속을 덮은 깊은 갈색과 녹색은 단청을 연상시키며 고요한 공간을 그리는 동시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확장되는 마루와 처마 그리고 데크의 레이어는 공간의 재미와 역동성을 더해준다.

작가소개

권순엽

권순엽 건축가는 루프리스 갤러리에 지붕을 더해, 새로운 쓰임의 공간을 관객에게 선사하는 작품 을 마련한다. 반사 필름지가 서로 결합되며 생성되는 격자구조의 지붕은 곡선으로 공간을 유영하며 또 다른 하늘 풍경을 제안한다. 지붕은 차양의 역할로 관객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도 하고, 빛에 반응하는 작품으로 관객이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도 한다. 인공과 자연, 실내와 야외의 경계를 넘나드는 모호한 공간은 관객에 따라 다양한 가능성을 품은 공간으로 새롭게 확장된다. 사람들이 함께하는 안에서의 공간 경험은 공동의 감각을 깨우며, 우리가 함께하는 지금 이 순간을 빛나게 한다.

박수정, 심희준

박수정 심희준 건축가는 관객과 소통하면서 만들어 나가는 작품 을 선보인다. 미술관 라운지에 설치된 아치형의 구조물에는 관객의 이야기가 담긴 가방이 순차적으로 채워질 예정이다. 글램핑 원단인 멤브레인으로 제작된 노랑, 연두, 초록의 가방은 생명성을 가진 덩굴로 자라나 전시기간 내 라운지에서 관객을 맞이하게 된다. 전시 여정이 끝나면, 이 가방은 참여자들에게 무작위로 전달된다. 가방에 담긴 메시지는 서로에게 위안과 웃음을 주며, 사람과 사람을 엮는 메신저가 된다. 가방은 관객의 삶 깊숙이 들어가 작품이 아닌 일상으로 또는 기분 좋은 연결의 기억으로 다른 삶을 이어간다.

서승모

서승모 건축가는 알루미늄을 재료로, 전통 한옥의 대청마루와 처마를 재현한 작품 을 선보인다. 루프리스 갤러리에 설치된 마루와 처마의 높이는 한옥의 스케일을 충실히 따르고 있어 한옥의 공간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건축가는 미술관에 맞춰 대청마루를 재해석한다. 개방된 공간으로, 집의 중앙에 위치하며 식구들이 모이는 장소였던 대청은 관객들이 앉아 콘크리트 창 너머의 자연을 마주할 수 있는 쉼터이자 다른 관객과의 우연한 만남을 이룰 수 있는 공유 공간이 된다. 차가운 금속을 덮은 깊은 갈색과 녹색은 단청을 연상시키며 고요한 공간을 그리는 동시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확장되는 마루와 처마 그리고 데크의 레이어는 공간의 재미와 역동성을 더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