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eum soda

D-CUBE X 왕현민, 최명주

ARTIFICIAL NATURE 인공자연 :
콘크리트에 자연을 담다

기간

장소

작가

2016. 03. 05 - 2016. 05. 08

2층 컨테이너

왕현민, 최명주

기간 | 2018. 04. 07 – 2018. 11. 25
장소 | 실외전시장
작가 | 남정민·우준승·최수희·정대건

전시개요

전시개요

소다미술관은 우리 일상에 가장 밀접한 디자인의 다양성 그리고 그 확장성을 대중에게 알리고 예술과 결합된 디자인작품의 전시를 통해 관점을 전환할 수 있는 디자인 플렛폼을 제공하려한다.

전시를 통해 역량 있는 젊은 디자이너들의 발굴과 대중과의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리를 만들기 위해 그 첫 걸음으로 2015 소다미술관 디자이너 인큐베이팅 프로젝트 [D-CUBE PROJECT]를 시작한다. 공모를 통해 선발된 젊은 디자이너들은 실험적이며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디자인의 경계를 확장하고 우리 삶을 변화시키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찜질방 구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소다미술관의 루프리스 갤러리 Roofless Gallery는 콘크리트의 열린 구조를 통해 자연과 만나는 특별한 공간으로, 예술가와 건축가에 의해 매 전시마다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되며 관객에게 다채로운 감각과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8년 4월 소다미술관은 루프리스 갤러리에 건축가와 ‘인공자연’을 마련합니다. 로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오늘날 콘크리트 환경에서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보는 전시입니다. 소다미술관은 건축가 세 팀과 루프리스 갤러리 안에 자연을 대신할 수 있는 대안공간을 마련했습니다. 건축가의 시선으로 구현된 인공자연은 오늘날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우리의 환경 안에서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남정민은 도시의 틈새에서 자생하는 식물에 주목하고 이들을 재배치하여 자연을 다른 시각으로 제시합니다. 우준승은 자연에서 유래한 직조기술을 단일 재료로 구현하며 자연친화적이고 구조적인 쉼터를 마련하고 있으며, 최수희·정대건은 최소한의 구조물을 통해 미술관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자연을 지각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관객은 루프리스 갤러리 안에서 새로운 자연과 만나고 교감하며 앞날 우리와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자연의 모습을 모색하고 상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작가소개

왕현민, 최명주

왕현민 최명주의 조명은 스틱과 그 스틱을 연결하는 리벳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러한 간단한 재료들은 견고히 맞물리며 하나의 건축적인 (원통형의)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는 스틱의 개수에 따라 그 폭이 무한히 확장되기도 하며, 리벳의 개수에 따라 그 면이 다양하게 분할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틱과 스틱을 연결해주는 리벳은 조명(구조)에서 X자 유닛을 만들어 내며 유기체적인 움직임을 부여한다. 당기거나 누르는 힘에 의해 조명의 실루엣은 다양하게 변형되며, 이러한 변형은 조명에서부터 비롯되는 빛과 그림자의 다채로운 변주를 선사한다.

유연하지만 견고한 구조와 다양한 형태로 빛과 그림자를 생성해 내는 조명을 통해 디자인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왕현민 최명주 디자이너는 D-CUBE 두 번째 디자이너로 선정되었다. 관람객들은 D-CUBE 공간에 설치된 조명의 움직임을 실현하며 빛과 그림자를 통해 또 다른 공간을 창조해 낸다. 이로써 디자인을 통해 공간의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작가소개

남정민

남정민은 도시 보도블록과 콘크리트 틈 사이에서 자생하는 식물에 집중한다. 잡초라고 불리는 자생식물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도시에 산소를 공급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등 자연의 역할을 다하지만 그 크기와 부피로 인해 자연으로 인지되지 못하고 있다. 남정민은 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서 자생식물에 대한 인식을 전환한다. 자생식물은 콘크리트 화분으로 옮겨져 다양한 모양으로 결합되며 루프리스 갤러리에 설치된다. 사람의 눈높이에서 군집을 이루며 설치된 식물은 잡초가 아닌 하나의 커다란 자연으로 관객에게 다가선다. 관객은 을 통해 건축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도시를 그려볼 수 있게 된다.

우준승

우준승 건축가의 은 자연에서 유래한 직조기술 Weaving Technique에서 출발한다. 바구니 직조기술은 인간의 손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장 원초적이면서 자연친화적인 조직 방법으로 우준승은 이를 스티로폼 튜브라는 단일 재료로 구현한다. 스티로폼 튜브가 서로 엮이며 증식되는 모습은 유기적인 형태로 살아 숨 쉬는 생명체를 떠올리게 하고, 단순한 구조가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식물의 프랙탈을 연상케 하며 또 다른 자연을상상하게 만든다. 은 자연적인 쉼터 SHELTER를 제공함과 동시에 자연으로 부터 보호하는 피난처 SHELTER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다양한 자연의 풍경을 선사한다.

최수희·정대건

최수희·정대건 건축가는 루프리스 갤러리에 최소한의 구조물을 더해, 미술관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자연과의 교감을 모색한다. 최수희·정대건은 갤러리 동선을 따라 유연한 콘크리트 커튼을 설치한다. 커튼은 자연을 바라보는 창으로 또는 주변의 인공적인 환경을 분리하는 가림막으로써 역할을 수행하며 하늘 땅 바람을 효과적으로 불러낸다. 관객은 루프리스 갤러리를 거닐며 거울의 반사로 끝없이 펼쳐지는 땅의 광활함을 느끼고, 커튼의 움직임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맞이하며, 평상에 앉아 프레임 속의 하늘을 감상할 수 있다. 관객은 공간을 경험하며 가까이 있는 자연을 풍부하게 느끼고 교감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