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eum soda

예술가의 말이 되어: ART SCENE [X]

예술가의 말이 되어: ART SCENE [X]

기간

장소

작가

2020. 11. 13 - 2020. 11. 29

실내전시장

김성훈, 김세은, 김채은, 진유영, 허주혜

기간 | 2020. 11. 13 – 2020. 11. 29

장소 | 실외전시장

작가 | 김성훈, 김세은, 김채은, 진유영, 허주혜

전시개요

전시개요

소다미술관은 화성시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신진작가들을 공모로 선정하여, 창작자간의 교류와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활동을 모색해보는 『2020 크리에이터 밍글랩』을 진행하였다. 시각예술, 퍼포먼스, 무용, 음악 등 예술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창작가들의 실험적 무대를 살펴보는 장이 되고자, 지난 세 달간 작가들의 작업 방향성을 주제로 정기적인 워크숍과 멘토링을 진행해왔다. 우리는 완성된 결과물보다 작가들의 새로운 예술적 시도를 중요시했고,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예술가의 실천적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술가의 말이 되어: ART SCENE [χ]>전은 『2020 크리에이터 밍글랩』의 결과물로서, 약 3개월에 걸친 릴레이 작업과정을 소개하는 자리이다. 작가들은 멘토를 중심으로 한 워크숍을 통해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고, 작가적 관심과 문제의식이 작업으로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 모색하였다. 그리고 일상의 사소한 대상에서부터 의미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삶의 다양한 층위들을 보여주기로 하였다. 다섯 명의 작가들(김성훈, 김세은, 김채은, 진유영, 허주혜)은 작업 기간 동안 개개인의 일상을 사진과 글, 드로잉 등으로 기록하여 공유하였다. 이들은 서로의 시선과 이야기에 영감을 얻어 최근까지 작업을 이어나갔고, 상호관계성에 기반을 두었던 이 실험적 작품들을 이번 전시를 통해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 예술이라는 언어로 자신을 표현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 신진 작가들을 통해서 우리는 동시대 예술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창작의 영역을 확장시키며 무한한 가능성[χ]을 보여준 이들의 행보를 더욱 기대하고 응원해줄 수 있길 바란다.

소다미술관은 화성시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신진작가들을 공모로 선정하여, 창작자간의 교류와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활동을 모색해보는 『2020 크리에이터 밍글랩』을 진행하였다. 시각예술, 퍼포먼스, 무용, 음악 등 예술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창작가들의 실험적 무대를 살펴보는 장이 되고자, 지난 세 달간 작가들의 작업 방향성을 주제로 정기적인 워크숍과 멘토링을 진행해왔다. 우리는 완성된 결과물보다 작가들의 새로운 예술적 시도를 중요시했고,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예술가의 실천적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술가의 말이 되어: ART SCENE [χ]>전은 『2020 크리에이터 밍글랩』의 결과물로서, 약 3개월에 걸친 릴레이 작업과정을 소개하는 자리이다. 작가들은 멘토를 중심으로 한 워크숍을 통해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고, 작가적 관심과 문제의식이 작업으로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 모색하였다. 그리고 일상의 사소한 대상에서부터 의미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삶의 다양한 층위들을 보여주기로 하였다.

다섯 명의 작가들(김성훈, 김세은, 김채은, 진유영, 허주혜)은 작업 기간 동안 개개인의 일상을 사진과 글, 드로잉 등으로 기록하여 공유하였다. 이들은 서로의 시선과 이야기에 영감을 얻어 최근까지 작업을 이어나갔고, 상호관계성에 기반을 두었던 이 실험적 작품들을 이번 전시를 통해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 예술이라는 언어로 자신을 표현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 신진 작가들을 통해서 우리는 동시대 예술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창작의 영역을 확장시키며 무한한 가능성[χ]을 보여준 이들의 행보를 더욱 기대하고 응원해줄 수 있길 바란다.

작가소개

김성훈

"빛은 어둠을 감싸 안고, 비추는 대상의 모습을 더욱 잘 보이게 해주죠. 저는 빛을 통해 성찰한 것을 예술가로서 기록하고 싶어요." 김성훈은 빛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작가는 불안정한 시대를 살아가는 모두를 위해 빛이 주는 위안과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김채은

“작업은 나의 또 다른 언어이기도 해요. 가끔은 말보다 작업의 언어를 사용할 때가 편해요. 내가 느끼는 감정을 섬세하게 조율하는 작가, 내 삶에 진실한 작가가 되고 싶어요.” 김채은은 응축된 감각을 화면 위에 즉흥적이고 힘이 넘치는 드로잉 퍼포먼스로 쏟아낸다. 작가에게 예술은 자신의 섬세한 감정을 표현하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언어가 되고 있다

허주혜

“캔버스 안에서 자유롭게 펼쳐냈던 그림이 저를 위로해준다고 느꼈어요. 조금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제가 보는 시선과 감정들을 공유할 수 있는 그런 작품을 하고 싶어요.” 허주혜는 먹과 한지를 재료로 하여, 도시 속 건축물의 이미지를 화면 가득히 그려낸다. 거대한 자연을 연상시키는 작가의 도시풍경에는 현대사회의 불편한 이면이 담겨있다. 작가는 주변의 익숙한 대상을 통해, 빠르게 변해가는 시대 속에서 우리가 지켜야할 삶의 가치를 떠올리게 한다.

김세은

“저는 이 시대를 기록하는 일에 사명감을 느껴요. 제가 발현하는 것들은 곧 글이 되기도 하고, 배우의 말이 되기도 하죠. 제가 경험하고 느끼는 것들로 누군가의 삶에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그런 예술가로 존재하고 싶어요.” 김세은은 연극과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공연예술을 한다. 주로 자연의 흐름과 소리, 눈여겨보지 않았던 사소한 것들에게 영감을 얻어 작업하고 있다. 삶의 다양한 지점에서 발견하고 경험한 것들을 깊게 사유하며, 이를 몸의 언어로 기록한다.

진유영

“제겐 사회적인 고민들과 감정들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 그리고 그것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갈망이 있죠. 모든 무대에서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삶을 사유할 수 있게 하는 예술가로 활동하고 싶어요.” 진유영은 타악기와 몸, 길가에 버려진 물건들을 자신의 음악적 도구로 사용하며 여성과 자아에 대한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작가는 관습적인 타악기 연주를 벗어나, 다다이즘에서 페미니즘까지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으로 동시대적 이데올로기를 표현하고,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차경화[MENTOR]

차경화는 폐기물이 된 나무 조각위에 색을 입히고 서로 이어 붙이는 조형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쓸모가 없어진 나무 조각은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작가 자신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소재가 된다. 저마다의 사연을 가진 채 버려지고 뜯겨진 나무들을 찾아내는 일은 작가에게 삶의 작은 존재들을 되새기는 중요한 과정이자, 세상과 소통하는 가장 평화로운 방식이다. 작가는 이번 에 멘토가 되어, 신진작가들의 워크숍과 멘토링을 진행하고 작품 활동에 함께 참여하였다.

작가소개

김성훈

"빛은 어둠을 감싸 안고, 비추는 대상의 모습을 더욱 잘 보이게 해주죠. 저는 빛을 통해 성찰한 것을 예술가로서 기록하고 싶어요." 김성훈은 빛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작가는 불안정한 시대를 살아가는 모두를 위해 빛이 주는 위안과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김채은

“작업은 나의 또 다른 언어이기도 해요. 가끔은 말보다 작업의 언어를 사용할 때가 편해요. 내가 느끼는 감정을 섬세하게 조율하는 작가, 내 삶에 진실한 작가가 되고 싶어요.” 김채은은 응축된 감각을 화면 위에 즉흥적이고 힘이 넘치는 드로잉 퍼포먼스로 쏟아낸다. 작가에게 예술은 자신의 섬세한 감정을 표현하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언어가 되고 있다

허주혜

“캔버스 안에서 자유롭게 펼쳐냈던 그림이 저를 위로해준다고 느꼈어요. 조금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제가 보는 시선과 감정들을 공유할 수 있는 그런 작품을 하고 싶어요.” 허주혜는 먹과 한지를 재료로 하여, 도시 속 건축물의 이미지를 화면 가득히 그려낸다. 거대한 자연을 연상시키는 작가의 도시풍경에는 현대사회의 불편한 이면이 담겨있다. 작가는 주변의 익숙한 대상을 통해, 빠르게 변해가는 시대 속에서 우리가 지켜야할 삶의 가치를 떠올리게 한다.

김세은

“저는 이 시대를 기록하는 일에 사명감을 느껴요. 제가 발현하는 것들은 곧 글이 되기도 하고, 배우의 말이 되기도 하죠. 제가 경험하고 느끼는 것들로 누군가의 삶에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그런 예술가로 존재하고 싶어요.” 김세은은 연극과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공연예술을 한다. 주로 자연의 흐름과 소리, 눈여겨보지 않았던 사소한 것들에게 영감을 얻어 작업하고 있다. 삶의 다양한 지점에서 발견하고 경험한 것들을 깊게 사유하며, 이를 몸의 언어로 기록한다.

진유영

“제겐 사회적인 고민들과 감정들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 그리고 그것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갈망이 있죠. 모든 무대에서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삶을 사유할 수 있게 하는 예술가로 활동하고 싶어요.” 진유영은 타악기와 몸, 길가에 버려진 물건들을 자신의 음악적 도구로 사용하며 여성과 자아에 대한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작가는 관습적인 타악기 연주를 벗어나, 다다이즘에서 페미니즘까지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으로 동시대적 이데올로기를 표현하고,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차경화[MENTOR]

차경화는 폐기물이 된 나무 조각위에 색을 입히고 서로 이어 붙이는 조형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쓸모가 없어진 나무 조각은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작가 자신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소재가 된다. 저마다의 사연을 가진 채 버려지고 뜯겨진 나무들을 찾아내는 일은 작가에게 삶의 작은 존재들을 되새기는 중요한 과정이자, 세상과 소통하는 가장 평화로운 방식이다. 작가는 이번 에 멘토가 되어, 신진작가들의 워크숍과 멘토링을 진행하고 작품 활동에 함께 참여하였다.